[김대호의 경제읽기] 생활물가 10년 만에 최고…고공행진 언제까지?<br /><br /><br />체감물가가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요즘 물가 상황이 심상치 않은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 더욱 힘이 실려 서민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물가 상황부터 금리 전망까지 두루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디젤 화물차량의 필수품인 요소수가 품귀 현상을 빚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에 남은 재고도 얼마 되지 않아 택배 대란 우려까지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요소수 대란이 발생한 배경과 대책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 소비자들이 피부로 느끼는 체감 물가가 연일 높아지는 모습입니다. 달걀과 돼지고기, 전기요금과 전셋값 등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도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는데 물가 급등세, 잡힐 수 있을까요? 4분기 상황은 어떻게 전망하세요?<br /><br /> 물가가 급등하면서 이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. 대출 금리도 이미 큰 폭으로 오른 상황인데 기준금리 인상은 어떻게 예상하시나요? 물가 영향은 어떨까요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도 물류대란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습니다. 최근 디젤차의 필수품인 '요소수'의 품귀현상이 빚어지고 있기 때문인데요. 정확히 '요소수'가 무엇인가요? 왜 물류대란이 우려되는지도 궁금한데요?<br /><br /> 현재 국내 업체들이 보유한 요소수 재고는 1~2개월 분량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. 요소는 국내에서 생산할 수 없는 건가요? 아니면 중국 외에 다른 국가에서 수입할 수는 없는 건가요?<br /><br /> 정부가 수급 대응에 나섰고 업계 또한 러시아 등 다른 수입처를 찾고 있는 상황인데요. 공급이 재개될 수 있을까요? 요소수 품귀현상이 결국 물가에도 영향을 주지 않을지도 걱정인데요?<br /><br /> 올해 마지막 기업공개 '대어'였던 카카오페이가 코스피에 상장했습니다. 입성 첫날인 오늘 공모가의 2배를 웃돌았는데 성공적으로 안착했다 보시나요?<br /><br /> 카카오페이는 크래프톤, KB금융, SK이노베이션 등을 제치고 코스피 14위에 올랐는데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? 상장 기업으로 재탄생한 카카오페이, 앞으로 성장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는 무엇일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